OECD STI Outlook 2025 : 격변하는 환경에서 과학기술혁신정책이 나아갈 방향

분류
정책
작성일
2025.11.21
작성자
산학협력단
조회수
1

발행일2025.11.18
정보제공 Bio IN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문보기 https://www.bioin.or.kr/board.do?num=331469&cmd=view&bid=policy&cPage=1&cate1=all&cate2=all2&s_key=title&s_str=&sdate=&edate=&listCnt=20


OECD STI Outlook 2025 : 격변하는 환경에서 과학기술혁신정책이 나아갈 방향 ◈본문 OECD는「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Outlook 2025」를 통해 글로벌 복합 위기 속에서 과학기술혁신(STI)시스템이 직면한 도전을 진단하고,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 개혁의 필요성을 제시했습니다.또한 지정학적 긴장,기술 융합의 가속,사회·경제 전환이 중첩되는 환경 속에서 변화를 견인할7대 개혁 방향*을 제안하며, STI정책이 국가 경쟁력 강화를 넘어 지속가능성과 안보,회복력을 포괄하는 변혁적 정책 체계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단기 성과 중심의R&D구조를 넘어 기술정책의 초점을‘개발’에서‘확산’으로 전환하고,민간 투자와 공공재원의 균형적 활용,학제 간 협력과 데이터 개방을 통한 혁신 생태계 확산이 필요합니다.「STI Outlook 2025」는 기술·인재·자본이 융합된 혁신의 전환점을 맞이한 지금,과학기술정책이 단순한 성장의 도구가 아닌 지속가능한 사회 변화를 이끄는 국가 혁신 플랫폼으로 발전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습니다.혁신을 뒷받침할 민첩한 거버넌스와 근거 기반 의사결정 체계의 확립이 요구됩니다. *과학기술혁신정책의7대 개혁 방안 △정책 간 시너지 효과 활용을 통한 효율성 증대△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한 비례적이고 정밀한 연구 보안 구축△확산 강화를 통한 혜택 확대△공공 과학 시스템 혁신△기술 융합의 활용△생태계 접근 도입△전략적 인텔리전스 및 정책 실험을 통한 정책 민첩성 제고 [요약문] □ OECD는 STI Outlook 2025를 통해 글로벌 복합 위기 속에서 STI 시스템이 직면한 도전을 조망하며,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근본적 구조 개혁이 시급함을 역설 □ 핵심 논의로, 변혁적 변화를 위한 정책 설계, 비례성·정밀성에 기반한 연구 보안 거버넌스, 혁신 혜택의 확산, 공공 과학 시스템 혁신, 기술 융합 활용, 산업 생태계 접근 도입, 정책 민첩성 확보 등 7대 개혁 방향을 제시 □ 본 브리프는 한국의 STI 정책이 지속가능성·안보·경제적 경쟁력을 아우르는 혁신적 변화를 주도하고, 기술 정책의 초점을 ‘개발’에서 ‘확산’으로 전환하며, 통합적인 생태계 관점과 민첩한 대응체계를 갖출 것을 제언 ...................(계속) ☞ 자세한 내용은내용바로가기또는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산학협력 동향에 등록되는 게시물은 외부 기관의 발간 자료 탐색을 통해 수집·등록되고 있습니다.

  ※ 따라서 등록되는 모든 게시물의 저작권은 해당 자료를 발간·등록한 기관에 있으며, 해당 기관의 저작권 정책을 준수하여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