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클러스터 운영체계 개선을 위한 효율화 방안 연구

분류
산업
작성일
2024.05.03
작성자
산학협력단
조회수
34

발행일2024.04.29
정보제공 Bio IN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문보기 https://www.bioin.or.kr/board.do?num=324615&cmd=view&bid=policy&cPage=1&cate1=all&cate2=all2&s_key=title&s_str=&sdate=&edate=&listCnt=20


바이오 클러스터 운영체계 개선을 위한 효율화 방안 연구 ◈ 목차 I. 연구배경 및 목적 II. 국내외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 사례 및 특성 III. 국내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 평가지표 도출과 핵심역량 평가 Ⅳ. 국내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별 현안 이슈와 개선방향 Ⅴ. 결론 및 정책제언 ◈본문 I. 연구배경 및 목적 ■ 클러스터는 실리콘밸리의 첨단산업과 샌디에고의 바이오 산업, 일본 도요타시의 자동차 산업 등 새로운 성장 지역의 발전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중요한 모델임 ○ 기업과 연구시설의 단순 군집이나 집적을 넘어서서 지식기반 산업과 집단학습, 혁신 시너지 등의 핵심 요소를 통해 혁신 클러스터로 진화(김주한, 2003) ○ 바이오헬스 산업이 점차 주력산업화함에 따라(홍미영 외, 2023), 각 지역별로 바이오 클러스터를 신규 유치하거나, 기존 바이오 클러스터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지속 ■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주요국들은 바이오헬스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하며 혁신적 성과 창출을 위해 경쟁력 있는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노력 ○ 우리나라 바이오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수립을 위해 현 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과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에 대한 정부・지자체 지원 역할에 대한 검토가 요구 ○ 바이오헬스 분야는 기초연구에서 산업화 단계까지 장시간이 소요되고, 기술개발에서 실패 위험이 높으며 고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연구 주체간 상호작용의 필요성이 높음 ○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바이오헬스 산업의 혁신적 생태계 조성을 위해 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효율적 운영 방안을 모색 ✽︎ (미국) 보스턴・캠브리지, 샌프란시스코, 뉴욕・뉴저지 등, (유럽) 프랑스 제노폴, 독일 뮌헨, 스위스 바젤, 네덜란드 레이든 등, (아시아) 일본 고베 바이오메디컬혁신클러스터, 그레이터도쿄바이오커뮤니티(GTB), 중국 베이징 중관춘생명과학단지, 싱가포르 바이오폴리스 등 ■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별로 지원분야, 지원내용 및 강점 등이 다양하여, 클러스터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 및 연계전략 수립이 요구됨 ○ 각 지역의 바이오 클러스터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기업 및 병원의 유치 등에서 경쟁이 발생하고 유사 기능을 하는 클러스터 간 중복 문제도 발생 ○ 우리나라도 정부・지자체 주도의 다수의 바이오 클러스터가 구축되어 있으나 양적・ 질적으로 글로벌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여 운영체계 개선 노력이 필요 ○ 국내 바이오 산업 및 클러스터가 성장함에 따라, 바이오 클러스터별 성격에 맞는 발전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현황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됨 ○ 기존에도 바이오 클러스터에 대한 정책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으나, 지역별 기능 및 정책적 부합성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차별화 방안 등 심층적인 내용이 부족하여 단순 실태 조사 또는 원론적인 활성화 방향 제시 등에 그치는 경향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에 대한 객관적인 수준 평가를 위해 해외 성공사례 및 국내 주요 6대 바이오 클러스터의 객관적 분석을 위한 정량지표 수립, 현장방문・심층인터뷰를 통한 정성적 분석 등 다각도의 접근을 수행함 ○ 미국, 스위스, 일본 등 해외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의 발전사례를 통해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 ○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 관련 주요 정책 흐름 및 근거법・지원주체 등을 분석하고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의 특성을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 및 향후 전망을 제시 ○ 상기 분석내용 및 바이오 클러스터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 등을 바탕으로 바이오 클러스터 경쟁력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검토 가능한 68개의 수준진단 지표와 측정 방식을 설정 ○ 공신력 있는 통계 데이터를 활용한 지표 분석을 통해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의 시계열적 발전과정과 수준진단에 활용 ○ 정량분석 결과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 현장방문과 심층 인터뷰, 서면자료 검토를 통해 각 클러스터별 현안이슈와 개선방향을 제시 ...................(계속) ☞ 자세한 내용은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산학협력 동향에 등록되는 게시물은 외부 기관의 발간 자료 탐색을 통해 수집·등록되고 있습니다.

  ※ 따라서 등록되는 모든 게시물의 저작권은 해당 자료를 발간·등록한 기관에 있으며, 해당 기관의 저작권 정책을 준수하여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